맨위로가기

고토바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토바 천황은 1183년 3세의 나이로 즉위한 일본의 천황이다. 안토쿠 천황이 삼종신기 없이 도주한 상황에서 즉위했으며, 1198년 퇴위 후 상황으로 23년간 인세이를 펼쳤다. 그는 강력한 왕권 강화를 추구하며 가마쿠라 막부에 대항했으나, 1221년 조큐의 난에서 패배하여 오키 섬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는 생전, 와카를 장려하고 문화를 융성시키는 한편, 조큐의 난 이후 원령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토바 천황
기본 정보
고토바 천황 초상화, 1221년 후지와라노 노부자네 그림
고토바 천황 초상화, 1221년 후지와라노 노부자네 그림
이름고토바 천황
일본어 이름後鳥羽天皇
일본어 발음Go-Toba-tennō
다카나리 (尊成)
법명료젠 (良然)
별칭오키인 (隠岐院)
출생일1180년 8월 6일
출생 장소헤이안쿄 (平安京) 고조마치노테이 (五条町の亭)
사망일1239년 3월 28일
사망 장소가마쿠라 막부 오키 제도 (隠岐諸島) 카리타 고쇼 (苅田御所)
묘소오하라노 미사사기 (大原陵) (교토)
화장 무덤오키 아마초 묘 (隠岐海士町陵)
대관식1184년 9월 4일
즉위례1184년 9월 4일
묘호겐토쿠인 (顕徳院)
추호고토바인 (後鳥羽院), 고토바 천황
추호 칙정일1242년 8월 5일
재위 기간1183년 9월 8일 – 1198년 2월 18일
일본식 재위 기간주에이 2년 8월 20일 – 겐큐 9년 1월 11일
원호주에이 (寿永)
겐랴쿠 (元暦)
분지 (文治)
겐큐 (建久)
정치
정치 체제일본 천황
섭정고시라카와 법황 (1181년–1192년)
쇼군미나모토노 요리토모 (1192년-1199년)
섭정고노에 모토미치 (1184년–1186년)
구조 가네자네 (1186년–1191년)
간파쿠구조 가네자네 (1191년–1196년)
태정대신구조 가네자네 (1190년)
후지와라노 가네후사 (1191년-1196년)
가족 관계
아버지다카쿠라 천황
어머니후지와라노 쇼쿠시 (시치조인)
배우자후지와라노 닌시 (1190년 결혼)
자녀쇼시 내친왕
쓰치미카도 천황
준토쿠 천황
마사나리 친왕
기타
황거헤이안 궁
한인
오이 미카도노 (大炊御門殿)

2. 생애

1183년 헤이시안토쿠 천황삼종신기를 가지고 사이고쿠(西國)로 달아난 상황에서 3세의 나이로 즉위했다.[5] 고토바 천황은 삼종신기 없이 즉위한 최초의 천황이 되었다.[5]

1192년 고시라카와 법황이 사망하고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마쿠라 막부를 설립하면서 천황은 명목상의 지도자가 되었다.[7] 1198년 아들 쓰치미카도 천황에게 양위하고 인세이를 시작했지만, 그의 권력은 이전 상황들에 비해 제한적이었다.

고토바 상황은 호넨이 이끄는 정토종을 탄압했는데, 이는 교토 승려들의 불만과 더불어 그의 시녀 두 명이 정토종으로 개종한 사건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8]

1221년, 조큐의 난을 일으켜 가마쿠라 막부 타도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오키 제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7]

2. 1. 신기(神器)가 없는 즉위

헤이케가 안토쿠 천황삼종신기를 받들고 사이고쿠(西國)로 피난하면서, 고시라카와 법황과 조정에서는 새 천황을 즉위시켜야 하는 문제가 떠올랐다.[44] 고시라카와 법황은 신기가 없는 상황에서 새 천황을 즉위시킬지, 아니면 안토쿠 천황에게 기대를 걸지 점을 쳐보게 하고,[45] 그 결과를 바탕으로 측근 구조 가네자네(九條兼實)에게 의견을 물었다.

가네자네는 천황의 자리가 비어있는 상황을 우려하여 새로운 천황을 세우는 데 찬성했고, 게이타이 천황이 즉위 이전에 이미 천황을 칭하고 나중에 삼종신기를 받았던 선례가 있다고 답했다.[46] 고시라카와 법황은 여러 신하와 박사들에게 의견을 구한 끝에,[46] 안토쿠 천황의 이복동생인 4세의 다카히라 친왕을 즉위시키기로 결정했다. 《구칸쇼》에는 다카히라 친왕의 좋은 성품과 단고노 쓰보네(丹後局)의 진언이 영향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183년 8월 20일, 고토바 천황은 태상천황(고시라카와 법황)의 인젠(院宣)을 받는 형태로 즉위했다. 그 의식은 삼종신기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 양위의 예를 그대로 따랐으며, 즉위식도 1184년(겐랴쿠 원년) 7월 28일에 신기 없이 거행되었다. 이로 인해 1183년부터 1185년까지 2년간 안토쿠 천황과 고토바 천황, 두 명의 천황이 재위하는 기간이 겹치게 되었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헤이케가 멸망하고 안토쿠 천황이 사망했지만, 삼종신기 중 보검은 바다에 가라앉아 끝내 찾지 못했다. 1188년 9월 27일, 보검 수색을 맡았던 사에키 가게히로(佐伯景弘)는 수색 실패를 보고했고, 이후 수색은 중단되었다. 1190년 1월 3일에 거행된 천황의 원복 의식도 삼종신기 없이 치러졌다.[47]

조겐 4년(1210년), 준토쿠 천황의 즉위 때, 상황이었던 고토바 천황은 이세 신궁에서 고시라카와 법황에게 헌상했던 검을 보검 대신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47]

궁정 사회에서 천황의 상징인 삼종신기가 없는 상황에서 즉위하고 치세를 보낸 고토바 천황에게 이는 일종의 '컴플렉스'로 작용했다.[48] 이러한 상황은 고토바 천황의 강력한 왕권 추구와 강경한 정치 자세, 그리고 조큐의 난으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2. 2. 치세와 인세이

고시라카와인에 의한 인세이는 겐큐 3년(1192년) 3월까지 지속되었다. 고시라카와인 사후, 간파쿠 구조 가네자네가 조정을 이끌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정이대장군 직을 수여한 후 요리토모의 딸 오오히메의 입궁 문제로 관계가 소원해졌다. 겐큐 7년(1196년) 쓰치미카도 미치치카의 양녀가 황자를 낳은 뒤 일어난 '겐큐 7년의 정변'으로 가네자네 세력은 조정에서 축출되고, 딸 닌시도 중궁 자리에서 쫓겨났다. 이 정변에는 요리토모의 동의가 있었다고도 전해진다.

겐큐 9년(1198년) 1월 11일, 고토바 상황은 아들 다메히토에게 양위한 뒤, 준토쿠, 주쿄 3대에 걸쳐 조큐 3년(1221년)까지 23년간 인세이를 폈다. 이는 요리토모의 반대를 무릅쓴 강행이었다.

고토바인은 천황 외척인 미치치카조차 배제하고 덴조비토(殿上人)[49]들을 정리했으며,[50] 인쵸(院廳) 개혁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펼쳤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사후(1199년) 가마쿠라 막부에 대해서도 강경 노선을 취했다.

쇼지(正治) 3년(1200년)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를 백수가(百首歌) 작가로 선발, 이후 두 사람은 와카로 교류했다. 겐닌 원년(1201년) 7월 27일 와카쇼(和歌所)를 설치, 이듬해 3월 《신고킨와카슈》를 편찬했다. 고토바인은 서문에서 "와카는 세상을 통치하고 백성의 마음을 온화하게 만드는 길"이라며 천황 통치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신고킨와카슈》 편찬 해에 구조 가네자네는 출가하고 쓰치미카도 미치치카는 급사했다. 고시라카와 법황미나모토노 요리토모도 사망한 상황에서 명실상부한 '치천의 군'은 고토바인 자신이었다. 겐닌 3년(1203년) 상황 주도의 지모쿠(除目)[51]는 이를 보여준다.[52] 공사 재흥, 관례 정비 등 정신적 통제도 강화하려 했으며, 그 어려움은 '범의 꼬리를 밟는' 것과 같았다.[53]

이후 센벤이 가마쿠라 3대 쇼군으로 옹립되자, 고토바인은 '사네토모'라는 이름을 직접 내려주고,[54] 유화책으로 막부 내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막부도 사네토모 후계로 고토바인의 아들을 맞아들이는 '미야 쇼군' 구상을 밝혀, 조정과 막부는 잠시 안정되었다. 고토바인은 사네토모 쇼군 옹립을 계기로 막부에 적극 공작을 펼쳐, 막부 요청으로 사네토모에게 새 지위를 주고, 근신 보몬 노부키요의 딸을 출가시키고, 문장박사 미나모토노 나카아키라를 가마쿠라에 보냈다.

그러나 쓰루가오카 하치만구에서 사네토모가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하고, '미야 쇼군' 구상도 상황의 거절로 무산되었다. 조큐 원년(1219년), 다이리슈고(內裏守護) 미나모토노 요리시게가 사이멘노 부시(西面武士)에게 습격당해 인수전(仁壽殿)에서 죽었다.[55] 사이멘노 부시는 상황이 호쿠멘노 부시 외에 자신의 경호를 위해 설치한 무사 조직이었다.

화재로 인수전, 의양전, 교서전 등 궐내 전각이 소실되자, 고토바인은 미나모토노 미치토모에게 대궐 재건을 맡기고 구니마다 재건 비용을 매겼다. 그러나 도고쿠(東國) 지토들이 거절하여 서쪽 지방 비용만으로 재건되었다.[56] 재건 완료 시점은 불확실하나, 조정 주도의 마지막 공사였다.

2. 3. 조큐의 난과 몰락

1221년 5월 15일, 고토바 상황가마쿠라 막부의 싯켄(執權) 요시토키를 토벌하라는 인센(綸旨)을 내리고, 야마다 시게타다(山田重忠) 등 유력 고케닌(御家人)을 포함한 기나이와 인근 구니의 병사들을 소집하여 막부 토벌군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 군사행동은 막부의 대군에 완패하였다. 이를 조큐의 난(承久の乱)이라고 부른다.[7]

두 달 뒤인 7월 13일, 19만 대군을 이끌고 상경한 요시토키의 아들 야스토키에 의해 오키 제도(隠岐諸島)로 유배되었다.[57] 아버지 고토바 상황의 막부 타도 계획에 협력했던 준토쿠 상황사도로 유배되었고, 이 계획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던 쓰치미카도 상황은 스스로 도사로 옮겨갔다.

이들 외에도 마사나리 친왕은 다지마로, 요리히토 친왕은 비젠으로 각각 유배되었다. 재위 3개월도 안 된 어린 주쿄 천황(당시 4세)은 폐위되고, 다카쿠라 천황의 손자인 시게히토 왕이 즉위했다. 즉위 경험이 없는 모리사다 친왕은 고타카쿠라인(後高倉院)으로서 인세이(院政)를 행하게 되었다.

3. 가계도


  • 중궁: 구조(후지와라) 닌시(기슈몬인, 1173년 - 1238년) - 구조 가네자네의 딸
  • * 첫째 황녀: 쇼시 내친왕(슌카몬인, 1195년 - 1211년) - 준토쿠 천황 준모・황후궁
  • 뇨고(여원): 미나모토노 아리코(쇼메이몬인, 1171년 - 1258년) - 노엔의 딸, 미나모토 미치치카의 양녀
  • * 첫째 황자: 다메히토 친왕(1195년 - 1231년)
  • 뇨고(여원): 후지와라(다카쿠라) 시게코(슈메이몬인, 1182년 - 1264년) - 다카쿠라 노리스에의 딸
  • * 셋째 황자: 모리나리 친왕(1197년 - 1242년)
  • * 황자: 마사나리 친왕(1200년 - 1255년) - 조큐의 난 이후 다지마로 유배
  • * 황자: 손카이 입도친왕(1204년 - 1246년) - 천태좌주
  • 후궁: 보몬 노부키요의 딸
  • * 둘째 황자: 나가히토 친왕(1196년 - 1249년) - 닌나지
  • * 셋째 황녀: 레이시 내친왕(가요몬인, 1200년 - 1273년) - 가모 사이인
  • * 황자: 요리히토 친왕(1201년 - 1264년) - 조큐의 난 이후 비젠으로 유배
  • 후궁: 미나모토 노부야스의 딸
  • * 둘째 황녀: 슈쿠시 내친왕(1196년 - ?) - 이세 신궁 사이오
  • 궁녀: 겐세이의 딸
  • * 황자: 아사히토 친왕(1204년 - 1250년) - 천태좌주
  • 후궁: 후지와라 사다요시의 딸
  • * 황자: 손엔 법친왕(1207년 - 1231년) - 온조지, 쇼고인
  • * 황자: 교초 - 엔랴쿠지
  • 텐지: 후지와라씨(쇼나곤 텐지)
  • * 황자: 미치모리(1198년 - ?) - 닌나지
  • 후궁: 가메기쿠
  • 후궁: 다키(?-1265년)
  • * 황자: 가쿠닌 법친왕(1198년 - 1266년) - 온조지, 구마노 산잔 겐교
  • 후궁: 이시
  • * 황녀: 히로코 내친왕(1205년 - ?) - 이세 신궁 사이궁
  • 후궁: 히메호시
  • * 황자: 가쿠요 - 젠린지
  • * 황자: 도엔 - 닌나지
  • * 황자: 도이 - 온조지
  • 생모 불명
  • * 황자: 이치조노미야(1201년 - 1213년)
  • * 황녀(1202년 - 1207년)

4. 연호


  • 주에이 (1183년8월 20일 - 1184년4월 16일)[18]
  • 겐랴쿠 (1184년 4월 16일 - 1185년8월 14일)[18]
  • 분지 (1185년 8월 14일 - 1190년4월 11일)[18]
  • 겐큐 (1190년 4월 11일 - 1198년1월 11일)[18]

5. 평가

고토바 천황은 무슨 일이든 자신이 몸소 나서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었고 이는 아버지 고시라카와인에게서 물려받은 것이었다. 활쏘기, 스모와 같은 무예에 관심을 가졌고, 직접 칼을 담금질하거나 도적 포획을 지휘하기도 했다. 《조큐키》에는 "수영과 스모뿐만 아니라 아침저녁으로 무예를 일삼고 밤낮으로 무기를 정리하며 병란에 대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9]

조큐의 난을 일으켜 막부를 타도하고 구게 정권으로 통합하려 한 것도 왕권 과시적 행위의 하나였다. 와카에 대한 관심, 쇼군 사네토모에 대한 유화책 등 문화적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자 결국 무력을 사용했다.

겐큐 3년(1192년) 친정을 시작한 후 천황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데이카), 미나모토노 나카쿠니, 나카아키라, 후지와라노 다다쓰나, 미나모토노 도모치카, 아스카이 마사쓰네, 후지와라노 히데야스 등이 그들이다.

고시라카와인 사후 친정과 인세이를 펼쳤으나, 지텐노키미로서 쓰치미카도 천황을 퇴위시키고 준토쿠 천황을 옹립하여 그 자손에게 황위를 잇게 한 것은 귀족 사회와 다른 종친들의 불만을 샀다. 삼종신기 없이 즉위한 것도 악평을 더했다. 전제적 폭정과 무모한 거병 계획에 대해 원의 측근을 제외한 대부분의 귀족들은 냉담했고, 조큐의 난 이후 막부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진 상황을 제외하더라도 고토바인을 동정하는 의견은 적었다. 《구칸쇼》, 《로쿠다이쇼지키》, 《신황정통기》 등은 모두 "패도를 지향한 정책이 불러온 자업자득"이라며 혹평했다.

조큐의 난 이후 교토 조정은 왕위 계승에 막부의 동의를 필요로 하게 되면서 정치적 자율성을 잃었다. 그러나 간겐 2년(1244년) 고토바 상황 추선팔강 법회가 조정 행사로 격상되고, 고사가 상황호지 2년(1248년)에 고토바 상황이 제도화했다가 조큐의 난으로 중단된 인노고쇼 최승강 법회를 '선례'로 부활시켰다. 이는 쓰치미카도 천황 계통인 고사가 천황준토쿠 천황 계통의 다다나리 왕(주쿄 천황의 동생)과 왕위 계승을 놓고 긴장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쓰치미카도 계통이 고토바인의 정통 후계자임을 주장하고 고토바인의 명예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다다나리왕 지지파를 억제하고 고사가 천황 즉위를 강행한 가마쿠라 막부의 묵인 하에 이루어졌다. 가마쿠라 막부 멸망 후에는 가인으로서의 고토바인을 재평가하는 움직임도 높아져, 《마스카가미》에서는 고토바인을 와카를 비롯한 '궁정 문화의 옹호자'로 묘사하고 있다.

彼の権能と威厳の光彩を隠さず輝かせながら、同時にあらゆる芸術と技芸を楽しんだ。この全てにおいて彼は誰にも劣らなかったので、人々は彼がいつどのようにしてそのような熟練を得たのか不思議に思った。そして、これらの芸術の一つまたは複数に精通した多くの人々が、退位した皇帝の関心のおかげで名声と富を得ることになった。仏は十悪と五逆罪を犯した者たちでさえも、すべての人を救済に導くという。退位した皇帝は、どんなに些細で取るに足らないように見える技芸にも関心を示した。そのため、これらのことについて何らかの知識を持つあらゆる種類の人々が彼の面前に呼ばれ、そこで彼らは自由に彼の好意を求めることができたという。|미나모토 이에나가(Minamoto Ienaga), 사서|''전중회''일본어[9]

정치적 권력에 제한이 있었음에도 18세에 퇴위한 후(퇴위는 그를 '궁궐의 의례적 감옥'으로부터 해방시켰다)[11] 서예가, 화가, 음악가, 시인, 비평가[10]이자 편집자로서 능력을 키웠다.

궁술, 승마, 검술[12]에 대한 열정 외에도 칼 자체를 매우 좋아해, 여러 해 동안 일본 최고의 검 제작자들을 궁정으로 불러 명예 칭호를 주고 기술을 가르치게 했다. 그는 존경받는 검 제작자가 되었고, 그의 후원과 격려 덕분에 일본 칼 제작의 '황금기'가 탄생했다. 그의 기여는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되어 검술 문헌에서 그가 처음 논의되는 검 제작자라는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

문학에 대한 가장 큰 공헌은 신고킨 와카슈(신고금 와카집)로, 만요슈, 고킨 와카슈와 함께 일본 3대 와카 문집으로 꼽힌다. 그는 제작을 명하고 편집자로 작업반에 참여했다. 와카청(和歌所)을 부활시켜 이 판본의 본부로 삼고, 많은 '우타카이'(와카 모임)와 우타아와세(와카 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창작자이자 조직자일 뿐 아니라 비평가로서 와카의 일반적인 스타일과 당대 시인들에 대한 비평을 저술했다.

고토바 천황과 준토쿠 천황의 능묘, 교토


유배 기간 동안 오키 섬에서 작품을 만들고 18년 동안 신고킨슈 사본을 편집하며 수백 편의 와카를 계속 작곡했고, 이전 판본에서 약 400편의 와카를 제거했다. 이 판본은 1204년에 공식 완성되었고 1216년에 추가 설명이 완료되었다. 그는 자신의 사본이 진품이라 선언했지만, 오늘날 1216년 판본이 진품으로 간주된다. 그의 판본은 '오키본 신고킨슈'(오키 판본)라 불린다. 유배 기간 동안 미적 비평에 관한 단편 "고토바노 인 고쿠덴"("비밀 가르침")을 저술했을 가능성이 높다. "비밀 가르침"은 후지와라노 테이카와 고토바의 복잡한 관계에 대한 주요 자료로서 특히 귀중하다.[13]

그의 31음절 시 중 하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의 ''햐쿠닌잇슈''에 99번으로 선정되었다.

6. 원령으로서의 고토바인

가테이(嘉禎) 3년, 고토바인은 다음과 같은 치문(置文)을 기록했다. "만일 이 세상의 망념에 끌려 마연(魔緣, 마귀)이 된다면 나는 이 세상에 재앙을 가져올 것이다. 내 자손이 세상을 차지할 일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내 힘에 의한 것이다. 내 자손이 세상을 취하게 되는 날 나의 명복을 빌게 하라." 《히라도기》에는 미우라 요시무라(三浦義村)나 호조 도키후사(北条時房)의 죽음을 고토바인의 원령 때문이라고 적은 기술이 있어서, 그 무렵부터 이미 원령이 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21]

7. 관련 작품

'''텔레비전 드라마'''


  • 草燃える|쿠사 모에루일본어(1979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엔도 요시노리→초대 오노에 타츠노스케
  • 鎌倉殿の13人|가마쿠라도노의 13인일본어(2022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오노에 린→菊井りひと|키쿠이 리히토일본어→2대 오노에 마츠야


'''애니메이션'''

  • 世界の光 親鸞聖人|세계의 빛 친란성인일본어(1992년, 튤립 기획) - 성우: 이이즈카 쇼조


'''소설'''

  • 周防柳|스오 야나기일본어 『身も焦がれつつ――小倉山の百人一首』|『몸도 타오르며――오구라야마의 백인일수』일본어(2021년 7월, 중앙공론신사, ISBN 978‐4‐12‐005447‐1, 나카야마 요시히데 문학상 수상)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ukanshō; Jinnō Shōtōki
[2] 서적 Gukanshō
[3] 서적 Jinnō Shōtōki
[4]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ukanshō
[5] 서적 Jinnō Shōtōki
[6]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ukanshō; Jinnō Shōtōki
[7]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bout Honen Shonin http://www.jodo.org/[...] 2013-10-31
[9] 서적 Brower 1972
[10] 서적 Go-Toba no in Gokuden
[11] 논문 Ex-Emperor Go-Toba's Secret Teachings https://www.jstor.or[...]
[12] 서적 Go-Toba no in Gokuden
[13] 서적 Go-Toba no in Gokuden
[14] 서적 Gukanshō
[15] 서적 Gukanshō
[16] 서적 Gukanshō
[17] 서적 Gukanshō
[1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ukanshō
[19]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9-11-09
[20] 서적 後鳥羽院のすべて 新人物往来社
[21] 서적 承久の乱の構造と展開 転換する朝廷と幕府の権力 戎光祥出版 2019-03-16
[22] 서적 中世王家の政治と構造 同成社
[23] 논문 承久の乱の起因に就て
[24] 서적 日本中世の朝廷・幕府体制 吉川弘文館
[25] 논문 承久の大内裏再建事業について
[26] 서적 中世公武関係と承久の乱 吉川弘文館
[27] 논문 書評 長村祥知著『中世公武関係と承久の乱』
[28] 서적 頼朝と義時 講談社
[29] 논문 〈承久の乱〉像の変容-『承久記』の変容と討幕像の展開-
[30] 서적 鎌倉幕府成立史の研究 校倉書房
[31] 서적 中世の国家と天皇・儀礼 校倉書房
[32] 서적 中世王家の政治と構造 同成社
[33] 백과사전 日本人名大辞典+Plus 講談社
[34] 백과사전 日本人名大辞典+Plus 講談社
[35] 서적 古今著聞集 https://dl.ndl.go.jp[...]
[36] 서적 吾妻鏡 鎌倉幕府「正史」の虚実 中公新書 2024
[37] 서적 吾妻鏡 鎌倉幕府「正史」の虚実 中公新書 2024
[38] 웹사이트 後鳥羽上皇御火葬塚 http://www.town.ama.[...] 島根県隠岐郡海士町 2022-07-26
[39] 웹사이트 新撰陵墓志(仮)岡山県、広島県 http://www.geocities[...] 2019-03-30
[40] 웹사이트 後鳥羽上皇山稜 https://www.kanzaki-[...] 神埼市 2022-07-26
[41] 웹사이트 神埼まちあるき(3) 伝説が息づく鳥羽院 https://www.kanzaki-[...] 神埼市 2012-07-31
[42] 웹사이트 後鳥羽天皇宸翰御手印置文 https://bunka.nii.ac[...] 文化遺産オンライン 2022-07-26
[43] 웹사이트 国宝「後鳥羽天皇筆 御手印置文」を見に行こう! https://intojapanwar[...] 2018-03-15
[44] 기타
[45] 기타
[46] 기타
[47] 기타
[48] 기타
[49] 기타
[50] 기타
[51] 기타
[52] 기타
[53] 기타
[54] 기타
[55] 기타
[56] 기타
[5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